Search
👨🏻‍💻

2021년도 하반기 이직, 그 후

개발자로서 두 번째 커리어를 시작한 날

2021년 8월 17일
평소 서비스를 하는 회사에 들어가서 개발하는 것이 꿈이었던 내게는 정말 꿈 같은 상황이 펼쳐졌다. 드디어 나에게도 SI에서 서비스를 하는 스타트업으로 이직을 하게 된 것이다. 이게 꿈이야 생시야? 아직도 황홀해서 어질어질하다.

간단한 이직 동기

특히 코드를 작성한다고 해서 모두 같은 코드가 아니라는 점을 전 직장을 통해 깨달았다. 논문에나 등장할 법한 문법적으로 고급 수준의 휘황찬란한 스킬을 바랐던 것이 아니다. 서비스업계에서 일하게 되면 그 회사만의 제품을 만드는 것이고 그러다 보면 서로간의 호흡이 중요할 텐데 코드로 팀원들과 호흡을 하고 싶었다.

SI에서 힘들었던 점

회의감

그런데 생각보다 SI업계에서는 고객사가 빠듯한 일정을 요구하면 그에 맞춰서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시너지 효과를 낼 수가 없을 뿐더러 호흡을 맞추는 것조차 힘겹다.
하다못해 하나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한 개의 컴포넌트로만으로 충분할지 두 개의 컴포넌트로 분할해서 기능별로 작성하는 것이 옳은 건지 조차 고민할 여유없이 이전 컴포넌트에서 복사-붙여넣기를 해야 하는 상황이 있었다.
좀 더 깔끔하고 보기 쉬운 코드를 작성할 수 있을 것 같은데 기능은 복잡하고 시간에 쫓기다 보니 어쩔 수 없이 복사-붙여넣기를 해야만 하는 상황이 올 때마다 아, 나는 복붙 머신이 아닌데 하는 회의감이 너무 컸다.

공장의 부품처럼 일했어야 했나?

내가 개발자를 선택한 것은 개발을 잘해서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개발하는 것을 좋아하니까였다. 사람의 손으로 일일이 작동시켜야만 하는 일련의 과정을 프로그래밍을 통해 결과물을 구현하고 작동시키는 모든 과정을 즐긴다.
그래서 개발은 이라기보다는 재미있는 일이 되고 싶었다. 그런데 SI업계에서는 재미있는 일이 되기는 다소 어려웠다. 충분히 재충전할 시간 여유도 없이 시간이 모자라니 복-붙해야 하고 이미 기획은 나왔지만, 시시때때로 변하는 요구사항을 처리하는 피로감은 제품 개발을 지치게 만들었다.
평일 저녁-밤, 주말 하루종일 제품 개발을 위해 일하는데도 재미있게 개발할 수가 없었다. 오히려 개발을 지치게 만들었다. 개발을 오래 하기 위해서는 즐거워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이때의 상황이 이직 시즌을 앞당기게 되는 트리거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이직 그 후

이직 동기

회사가 지향하는 가치함께 일하는 동료(라 쓰고 선배님이라 읽는다)

회사가 지향하는 가치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는 속담이 있다. 그만큼 사람이 이름을 남길 만큼의 영향을 끼쳤다는 것 아닐까? 음... 나는 솔직히 이름까지는 남기고 싶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선한 영향력을 끼치고 싶었다.
공무원 수험시장에서는 필기노트라는 것이 유명하다. 수험계를 처음 입문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교과서보다 조금 더 정리된 문제집만을 떠올리겠지만, 공무원 시험범위는 방대하기 때문에 시험 범위의 뼈대를 간단하게 도식화하여 정리해줄 도구가 필요하다. 그것이 바로 강사님들의 판서였는데 그 판서를 책으로 그대로 옮겨 효율적으로 복습할 수 있는 교재가 한국사에서 처음 등장했다. 하지만, 내가 공부했을 당시만 하더라도(2017년) 전산 과목인 컴퓨터일반과 정보보호론에는 필기노트가 없었다. 수험 생활 동안 열심히 정리해서 만든 필기노트로 합격하고 합격 이후에는 전산 과목 강사님을 통해서 필기노트가 출간될 수 있도록 도움을 드렸다.
그렇다면 개발자가 되어서도 뭔가 영향력을 남기면 되지 않을까? 그건 새로운 기술을 공부하면서 좀 더 쉽게 접근하고 빨리 배우는 방법 등도 있겠지만, 회사가 지향하는 가치가 선한 영향력을 끼치는 곳이라면 그 가치에 동참하고 싶었다.
아니나 다를까 정말 친한 지인분께서는 네가 하는 모든 시간의 대가가 월급이나 인센티브만은 아니다라는 말씀을 해주시면서 기사를 전달해 주셨다. 너무 뿌듯했다. 회식할 때도 옆 테이블에서 우리 회사 이름을 언급하는 분들이 계셨는데 괜히 귀가 쫑긋하게 된다.

함께 일하는 동료(라 쓰고 선배라 읽는다)

특히 이번에는 시니어 개발자분들이 너무 많으시다. 입사 전에는 시니어 개발자분들의 실력을 대략적으로 가늠할 수는 없었지만, 이미 그 전에도 실력이 좋으신 분들이 계신다는 것을 인사 담당자분을 통해 들었다.
입사 이후 정말 그랬다. 나보다 더 많은 기술 스택을 사용하셨고 더 깊이 아셨으며 내가 처리해야 하는 이슈의 솔루션에 관한 빅픽처를 이미 다 그려두고 계셨다. (언제 따라가지? 하...)

개발자로서 서비스 회사가 좋았던 점

코드 공부하기가 쉽다

대중적인 도메인

SI업계에 있을 때는 특정 도메인에 관한 부분이어서 이슈를 해결할 때마다 이슈 설명을 들으면서 어떠한 결괏값이 도출되어야 하는지를 그때 그때 들어야 한다. 그리고 나중에 해당 이슈를 처리할 때도 기획자의 설명을 듣지 않으면 파악하기가 어렵다.
특히 SI업계에서 했던 제품은 고객사를 위한 제품이라서 회사 내에서 개발을 할 때만 이용할 수 있었다. 평소에 쓸 수 있는 그런 아이템도 아니었고;; 그러다 보니 서비스를 공부하는 데 한정적이며 이 모든 서비스 루틴을 이해하고자 한다면 경험치가 좀 더 많이 필요하다는 제약사항이 있었다.
그런데 서비스 회사로 이직한 후로부터는 이러한 애로사항은 거의 사라지게 되었다. 물론, 제품의 디테일한 사정은 선배 개발자분들을 붙잡고 여쭤보거나 기획자 분들을 통해서 들어야 하지만 웬만한 궁금사항은 그냥 서비스를 이용해보면 말끔하게 해결되기 때문이다.
로그인 과정이 어떻게 될까를 직접 로그인도 해보고 이슈가 없을 때 간단히 소스코드를 열어서 확인할 수 있다. 그 밖에 모든 기능들도 이처럼 근무가 아니어도 이용하면서 어느 정도는 우리 회사의 서비스에 관해 쉽게 익힐 수 있었다.

소름돋는 문서 정리

전 회사에서도 이슈를 해결할 때 이런 저런 서사를 메모해두고 어떤 방법으로 해결하면 좋을지 마크 다운의 형식으로 일지를 작성한 적이 있고 지금도 그렇게 하고 있다. 그리고 공유할 만한 사항들은 사내 위키에 정리해 두고 있었다.
그런데... 스타트업으로 이직하니 사내 위키 정도가 아니라 Notion과 같은 문서 협업 툴을 이용하여 서로 공유하고 있었다. 회사 제품이 연세가 좀 있는 편이라 그에 관련된 문서화된 내용들도 상당히 많다. 검색하지 않고서는 보기가 힘들 정도로 많았다.

멈출 줄 모르는 (기술) 성장 가능성

서비스를 하고 나면 일정 주기로 새로운 버전을 올리게 되는데 그때마다 새로운 리포지터리를 생성해서 리팩토링을 하는 작업과 함께 기획 개편이 시작되는 것 같다.
이때 우리 회사는 새로운 기술 스택(ex: Typescript, Nest.js 등)을 많이 시도하고 있다. 물론 나는 아직 새로운 리포지터리를 개발하고 있지는 않지만, 새로운 리포지터리가 배포된다면 언젠가 새로운 기술을 사용해야 할 날이 올 것이다.
그저 이전에 사용했던 기술이 편하고 좋으니까 계속 이대로 갑시다~가 아니라 새로운 기술이 등장했으니 괜찮으면 이것도 한번 시도해볼까요?하는 선임 개발자분들의 개척 정신을 본받고 싶었다.

기능구현의 표준

게시판의 같은 기능이더라도 대형 사이트를 운영하는 회사라면 다르게 구현했을 것이다. 그렇다면 지금 내가 구현한 게시판은 잘한 게 맞을까?
단순히 프로젝트를 위한 게시판이라면 CRUD가 버그 없이 완벽하게 작동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지만, 대형 서비스를 기획하는 회사에서는 그걸로 충분하지 않을 것이다. RDBMS를 설계할 때도 쿼리 튜닝, 인덱스 등 다양한 부분에 신경을 쓸 것이다. RDBMS만의 힘으로 부족하니 검색에서는 Elasticsearch와 같은 도구의 도움을 받을 수도 있다. 입출력이 너무 빈번하면 Redis와 같은 도구의 도움을 받을 수도 있다.
단순히 학부 시절이나 국비 학원 시절에 배운 게시판과는 다르게 어떻게 수 많은 트래픽이 오가는 사이에도 CRUD를 완벽에 가깝게 처리할 수 있는지를 경험하고 공부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된다.
또 어떤 것은 service 모듈에 코드에 기능을 적용하는 게 맞을지, DB 테이블을 접근하는 모듈에 코드를 작성하는 게 맞는지 감이 오지 않을 때가 있다. 이러한 모듈을 작성하고 운용하는 방법에 관해서도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가 있다.

말해 뭐해, 회사 이름이 들릴 때마다 몸둘 바를 모르겠음.

사람을 처음 만났을 때의 첫 설레는 감정. 나는 우리 회사에 이 감정을 갖고 있다. 최종합격 통보를 받았을 때 그랬고 입사한 순간에도 느꼈다. 그런데 지금도 첫 설렜던 감정을 느끼고 있다. 초심을 잃지 않고 계속 나도 회사에 대한 설레는 감정으로 즐겁게 동료분들과 함께 일하는 직장이었으면 좋겠다.
아듀 2021! 2022년에도 파이팅